August 21, 2025
Bopyo Park

Temu 미국 마켓 입점 전략 웨비나 후기

셀러킹덤 대표님들, 오늘 Temu 입점 전략 웨비나는 어떠셨나요?

뜨거운 관심 속에 진행된 웨비나의 핵심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하고, 아쉽게 참여하지 못하신 분들을 위해 공유합니다. Temu 미국 사업개발 매니저 김희성님께서 직접 밝힌 '아마존 다음 기회의 땅'에 대한 진짜 이야기, 지금 시작합니다.

1. Temu에 대한 3가지 오해: '싸구려' 플랫폼이라는 편견을 깨라

웨비나에서 가장 많은 대표님들이 공감하고 또 가장 많이 질문했던 부분입니다. 아마도 지금 이 글을 읽는 대표님도 이렇게 생각하실것 같은데요.

"싼 제품만 팔리는 플랫폼 아닌가?"

위 질문에 희성 매니저님은 진실이 아니라고 이야기합니다. 물론 저가 제품이 주력으로 팔렸던 곳이고 현재도 팔리기도 하지만 핵심 고객은 구매력 높은 40~50 여성이며 실제로 100불대 제품들도 판매가 활발하다고 합니다. 그들은 '최저가'가 아닌 '최고의 가성비'를 원하는 고객들이 점진적으로 늘어난다고 합니다.

"가품, 저품질 상품이 많은 플랫폼 아닌가?"

이 말도 옛말이라고 합니다. 2024년 5월부터 미국 현지 브랜드 입점을 본격화하며 아마존 '브랜드 레지스트리'와 유사한 강력한 IP 보호 정책을 운영 중이며, USPTO 등록 브랜드에는 '공식 스토어' 배지까지 부여합니다.

"내 상품을 헐값에 강제로 판매하는 것 아닌가?"

절대 아니라고 합니다. 셀러는 판매 시 정산받을 고정 금액, 즉 '베이스 프라이스(Base Price)'에 사전에 동의해야만 판매가 시작됩니다. Temu가 자체 쿠폰으로 90% 할인을 하든, 공짜로 제공하든 우리 셀러는 약속된 수익을 100% 보장받습니다.

2. '수수료 제로'의 비밀: Temu의 독자적인 운영 방식

많은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셨던, 아마존과 다른 Temu만의 독자적인 수익 모델입니다.

수수료: 입점비, 월 구독료가 일절 없습니다. 오직 판매가 일어났을 때만 카테고리별 수수료(평균 15%)가 발생합니다.

정산 (베이스 프라이스): 이것이 핵심입니다.

아마존: $100에 팔리면 → 수수료 15%를 떼고 → $85를 정산받습니다.

Temu: $100에 팔릴 상품에 대해 → 처음부터 "$85를 정산해줄게"라고 약속하고 → 판매를 시작합니다.

모든 광고, 할인 리스크는 Temu가 부담합니다. 셀러는 약속된 '베이스 프라이스'만 생각하면 되는, 예측 가능한 수익 구조입니다. 다만 판매 가격을 테무가 정하는데 이 부분은 웨비나에서 가장 많이 이야기가 오고간 부분중에 하나입니다. 판매가를 정하는 기준은 쉽게 말해서 이 가격에 판매해야 하는 근거가 있어야 합니다. (자사몰, 브랜드 라면 가능) 일반 상표없는 유리컵을 혼자서 50$ 에 판매한다고 하면 테무에서는 그런 가격대가 형성이 안됨

배송: 현재는 셀러 직접 배송이지만, 곧 아마존 FBA와 같은 FBT(Fulfillment by Temu) 베타 서비스가 오픈될수도 있다는 희소식도 있었습니다.

3. 그래서 누가 성공하고 있는가?: 실제 한국 브랜드 성공 사례

'아직은 시기상조'가 아님을 증명하는, 이 기회를 먼저 잡은 선두주자들의 성과들이 나오고 있고 실제로 한국 브랜드들이 많이 입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합니다.

Wish Company (화장품): 입점 1개월도 안 되어 약 300개 판매 돌파.

여기에 대기업들도 입점을 준비하고 있다는 상황은 Temu의 브랜드 가치가 지금은 저가 가격이라는 부분이 명확하지만 앞으로 계속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식품/건기식 카테고리는 한국 셀러에게 '블루오션'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은 매우 중요합니다.

결론: 새로운 기회의 운동장에서 함께 뜁시다

대표님들, 이번 웨비나를 어떻게 들으셨나요? 현재 테무는 미국에서 넘어야 하는 과제들이 분명히 있습니다. 그러나 생각보다 Temu는 단순한 저가 마켓이 아닌, 구매력 있는 고객과 셀러 친화적 정책을 갖춘 '새로운 기회의 채널'로서도 성장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이번 웨비나를 통해서 깨닫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아마존처럼 테무도 이런 입점 웨비나 링크를 통해서 입점하면 매니저 배정 혜택이 있습니다. 일종의 혜택이기 때문에 아래 링크를 통해서 입점을 진행하세요. 테무 한국인 직원 김희성 매니저님이 온보딩에서 생기는 문제에서 상담받을 수 있습니다.

테무 셀러 가입하기 (매니저 배정링크)

*이 링크로 가입하셔야 매니저 배정을 받는것과 같은 혜택이 있으니 북마크해놓으시고 가입하실 때 이 링크로 하세요.

https://seller.temu.com/registration.html?merchant_exclusive_invitation_code=4c60a1586696ee21Zdf798d84fd4221a4

미국 테무 입점은 미국에 주소가 있고 유틸리티 빌을 낼 수 있어야 합니다. 즉 신원 확인이 되어야 하므로 이점 확실히 아셔야 합니다.

웨비나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김희성 매니저님에게 직접 질문하고 싶은 분들은

sung.kim@temu.com

위 이메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Other posts

아마존 셀러들에게 VA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업체 VAA의 CEO 길라드 프레이만을 인터뷰 했습니다! 그의 삶과 그리고 회사 이야기!
August 13, 2024
Bopyo Park

아마존 셀러에게 VA를 제공하는 회사 VAA의 창업자 Gilad Freimann 인터뷰

아마존 셀러들에게 VA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업체 VAA의 CEO 길라드 프레이만을 인터뷰 했습니다! 그의 삶과 그리고 회사 이야기!

Read more
아마존 셀러들이 AI 이미지 생성 시 겪는 가장 큰 문제인 '결과의 무작위성'과 '브랜드 일관성 부재'를 해결하기 위해 SellerVisor가 '이미지 스타일 테마' 기능을 업데이트했다. 이 기능은 복잡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없이 클릭 한 번으로 전문가 수준의 일관된 이미지 스타일을 구현하게 해준다. 이를 통해 셀러는 견고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며, 누구나 손쉽게 높은 퀄리티의 비주얼 콘텐츠를 제작하여 리스팅 경쟁력과 구매 전환율을 높일 수 있다.
October 14, 2025
Bopyo Park

아마존 리스팅, AI 이미지 생성의 한계를 넘다: SellerVisor 스타일 테마 기능

아마존 셀러들이 AI 이미지 생성 시 겪는 가장 큰 문제인 '결과의 무작위성'과 '브랜드 일관성 부재'를 해결하기 위해 SellerVisor가 '이미지 스타일 테마' 기능을 업데이트했다. 이 기능은 복잡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없이 클릭 한 번으로 전문가 수준의 일관된 이미지 스타일을 구현하게 해준다. 이를 통해 셀러는 견고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며, 누구나 손쉽게 높은 퀄리티의 비주얼 콘텐츠를 제작하여 리스팅 경쟁력과 구매 전환율을 높일 수 있다.

Read more
이 글은 아마존이 공식적으로 제시하는 '신제품 성공을 위한 30일 로드맵'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신제품 런칭 후 첫 30일이 아마존 알고리즘에 제품의 가치를 증명하는 결정적인 '골든 타임'임을 강조하며, 성공적인 런칭을 위한 3단계 전략을 제시합니다. 첫째, 'Pre-launch' 단계에서는 A+ 콘텐츠와 Vine 프로그램을 활용해 전환율과 신뢰도를 극대화하는 기반을 다집니다. 둘째, 'Day 1'에는 쿠폰과 Sponsored Products 광고를 통해 인위적인 트래픽과 판매를 발생시켜 초기 모멘텀을 확보합니다. 마지막으로, 'Day 30' 이후에는 축적된 고객 리뷰와 판매, 광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리스팅, 재고, 광고를 지속적으로 최적화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며, 성공적인 런칭은 이 공식의 체계적인 실행에 달려있음을 역설합니다.
September 3, 2025
Bopyo Park

아마존 신제품 런칭 성공 공식: 30일 로드맵 완전 분석

이 글은 아마존이 공식적으로 제시하는 '신제품 성공을 위한 30일 로드맵'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신제품 런칭 후 첫 30일이 아마존 알고리즘에 제품의 가치를 증명하는 결정적인 '골든 타임'임을 강조하며, 성공적인 런칭을 위한 3단계 전략을 제시합니다. 첫째, 'Pre-launch' 단계에서는 A+ 콘텐츠와 Vine 프로그램을 활용해 전환율과 신뢰도를 극대화하는 기반을 다집니다. 둘째, 'Day 1'에는 쿠폰과 Sponsored Products 광고를 통해 인위적인 트래픽과 판매를 발생시켜 초기 모멘텀을 확보합니다. 마지막으로, 'Day 30' 이후에는 축적된 고객 리뷰와 판매, 광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리스팅, 재고, 광고를 지속적으로 최적화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며, 성공적인 런칭은 이 공식의 체계적인 실행에 달려있음을 역설합니다.

Read more

Do you have an idea? Let’s talk about it.

team meeting